> 고객지원 > 이름 bajaeway 이메일 electric@bajae.com 작성일 2024-05-17 조회수 335 파일첨부 제목 [Eletric] LS일렉트릭, 태국서 철도신호시스템 사업 수주...327억 규모 LS일렉트릭이 지난 2일 태국 철도청으로부터 327억 원 규모의 북동부 반파이(Ban Phai)~농폭(Nong Pok)를 연결하는 177km 구간 철도 신호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사진은 사업 수주 계약 체결 후 박우범 LS일렉트릭 전력사업본부장(상무, 오른쪽 두번째)와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 사진=LS일렉트릭[철도경제신문=장병극 기자] 유럽 등 선진 철도국의 '텃밭'처럼 여겨지던 동남아시아 철도시장에서 LS ELECTRIC(일렉트릭)이 철도 신호시스템 사업을 연이어 수주해, 우위를 다졌단 평가다.LS일렉트릭은 지난 2일 태국 철도청(State Railway of Thailand)이 발주한 반파이(Ban Phai)~농폭(Nong Pok) 177km 구간 철도 신호시스템 및 관제시스템 구축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수주금액은 327억 원이다.이 사업은 태국 북동부 지역에 위치한 반파이-농폭-사판 미트라팝(Saphan Mitraphab)을 잇는 총 연장 354km의 철도 복선화사업 2구간 중 제1구간으로, 전체 사업비만 약 554억 바트(한화 약 2조 원)에 이른다.태국은 북동부 지역 철도망 개발을 통해 화물, 여객 운송 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철도 복선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특히, 메콩강 유역의 내륙 수로와 최대 항구도시인 람차방(Laem Chabang)을 잇는 물류 수송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메콩강을 넘어 라오스 철도와 연결, 미얀마ㆍ태국ㆍ라오스ㆍ베트남 등 인도차이나반도 4개국과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LS일렉트릭은 지난 2001년 태국 철도 현대화 프로젝트 1단계 사업(ST1)을 수주하며,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현지 철도 신호시장에 진출했다.이후 2007년 4단계(ST4), 2015년 5단계(ST5), 2020년 캄보디아 국경지대를 연결하는 동부선, 덴차이(Den Chai) – 응아오(Ngao) 구간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번에 태국에서 반파이-농폭 간 신호ㆍ관제시스템 사업까지 수주하면서, 태국 국철 신호시스템 분야서 선두를 유지하게 됐다. 또, 디지털 전환(DX, Digital Transformation) 기술기반의 철도 신호사업 플랫폼을 확장해 향후 연계 사업 수주를 확대하고, 수익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LS일렉트릭은 태국 등 아세안 국가 철도인프라 개선 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현지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겠단 방침이다.태국의 국토 면적은 한반도의 2.3배에 이른다. 현재 남북과 동북부를 잇는 총 연장 4346km의 철로를 운영 중이다.태국에선 동남아 물류허브 구축과 스마트시티 건설을 중심으로, 동부경제회랑(Eastern Economic Corridor)의 중추 인프라를 항공, 해상 그리고 철도를 통해 연결하는 건설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특히, 방콕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오는 2029년까지 도시철도 9개 노선 건설이 계획돼 있어 철도시장이 크게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철도 신호시스템은 열차의 충돌ㆍ추돌이나 탈선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열차 속도를 제어하고, 주행로 변경을 위해 '선로 전환'을 수행하는 열차안전운행의 핵심 시스템이다. 최근엔 DX 기반 핵심 기술이 활발히 적용되는 추세다.LS일렉트릭 관계자는 "지난 20여 년 간 태국 철도사업의 파트너 기업으로 그간 축적된 철도분야의 E&M 역량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이번 프로젝트에도 사업자로 선정될 수 있었다"며 "포스트 코로나를 맞아 국철과 도시철도 등 인프라 확대 움직임이 활발한 만큼, 국내에서 검증된 신호 및 무인열차운행 기술, 현지화 확대전략 등을 통해 시장을 적극 공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전글 LS전선, 세계 최고 전압 HVDC 케이블 양산 다음글 위례선 도시철도 어디까지 왔나.
고객지원 문의및상담 주요고객사 찾아오시는길 새소식 산업용 특수케이블 원자력 선박해양 철도차량 신재생에너지 수배전설비 산업플랜트 솔루션 도시철도 전차선 시스템 철도차량 신재생에너지 공항 회사소개 바재의미 경영이념 CEO인사말 조직도 BI/CI의미 인재경영 조직문화 인재상 인사제도 직무소개 채용Q&A 상상+ 상상 플러스